그림 초보자 트레이닝법
그림을 잘 그린다에 대한 정의
아마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은 그림을 잘 그리고 싶다는 공통된 관심사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저마다 어떤 그림을 잘 그렸다고 생각하는지는 열 명이면 열명 백 명이면 백 명 모두 다를 것이다.
기준도 정의도 모두 다른데 과연 '잘한다'라는 짧은 단어 하나로 우리는 우리의 그림을 평가할 수 있을까? 아니면 저명한 학자들이 정해놓은 빡빡한 기준에 억지로 동조하며 감정 없이 매뉴얼대로 평가해야만 하는 것일까? 이런 오래된 의문에서 나는 그림 강의를 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다.
입시생 시절에 그림에는 그런 기준이 명확했고 내 그림 한편에는 항상 점수가 적혀있었다. 유명한 입시 선생님들의 실기 강의를 듣고 피드백을 받으며 흔히 '그림 잘 그리는 법'을 익혔고 나름 나쁘지 않은 성적으로 실기력을 키웠었다. 시간은 빠르게 흘렀고 나는 대학생이 되어 디자인을 배우기 시작했다. 남에게 나의 디자인을 설득해야만 하는 입장에서 니즈와 트렌드는 정해져 있었고 그에 맞춰 나는 기술을 배워갔다. 다시 작가의 위치로 돌아와서 비슷한 생각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니 나는 많은 불협화음과 인지부조화를 겪게 되었다.
'이게 잘 되는 그림인 것도 알겠고 트렌드인 것도 알겠는데 내 눈에는 ~스타일이 더 멋져'
마음속에 솔직한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듣기 시작하면서 멈춰있던 나의 그림은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잡설이 길어졌지만 여기서 내가 이야기하고 싶은 핵심은 결국 그림은 주관적인 언어이고 잘한다의 기준을 남이 아닌 나에게서 찾아야 한다는 말이다. 그래서 그림을 시작할 때 제일 중요한 부분이 내가 어떤 그림을 좋아하는지에 대한 생각이다. 물론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변할 수 있는데 자연스러운 현상이니 딱히 혼란스러워하거나 걱정할 필요는 없다.
전공자 vs 비전공자
과연 그림은 전문적으로 배워야만 잘 그릴 수 있을까? 약 20여 년 동안 그림을 그려오면서 사실 내가 남에게 그림을 배운 기간은 기껏해야 3년여 정도이다. 지금 내가 그림을 그리는 데에 전혀 영향이 없다고 하면 거짓말이겠지만 내가 배웠기 때문에 그림을 잘 그릴 수 있게 되었을까에 대한 질문에서는 결코 그렇지 않다고 이야기하고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현업 작가들, 취미로 그림을 시작하려고 하는 분들이 부담감을 느끼는 부분 이 있다.
내가 제대로 그리고 있는 것일까? 독학으로 과연 전공자들과 경쟁에서 밀리지 않을까?
이에 대한 명확한 해답은 사실 남들과 나를 비교하지 않고, 경쟁하지 않고, 나의 페이스를 잃지 않으며 꾸준하게 작업하는 것이다.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이고 수십 번도 더 조언했던 답이지만, 비전공자에게는 앞도 목적지도 보이지 않는 길에서 몇 번이고 내 발목을 붙잡는 불안요소인 것 같다.
반면 전공자의 경우 오랜 시간 습득한 그림 스킬은 있지만 그 이전에 갖춰야 할 작가로써 개성을 갖추지 못해 고민하는 경우를 자주 보곤 한다. 애초의 좋은 그림, 일러스트에 대한 사람들의 기준이 모두 다르다 보니 엄청난 스킬을 갖고 있지 않아도 특유의 화풍이나 스토리텔링, 교감과 공감 형성 등으로 좋은 평가를 받는 작가들도 많다. 때문에 전공자와 비전공자들 모두 장점과 단점이 있음을 인지하고 나 나름의 그림을 남과 비교하며 낭비하는 시간이 없어야겠다.(배울 건 배우되 비교하지 않기!)
-전공자
이미 입시학원 또는 전공학과를 졸업한 사람들은 형태와 색상, 화면구도에 대해서 기본적으로 지식과 스킬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시중에 '잘 팔리는' 그림에 대해서 본인이 배워왔던 것과 다름을 접했을 때 신선하면서도 '이게 도대체 왜 멋진 거지' 또는 '이게 왜 인기가 많은 거지?'란 의문을 갖곤 한다. 사실 그런 부분에 있어서 깊게 고민할 필요는 없다. 말 그대로 취향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좋은 기술을 갖고 있다는 것은 당연히 장점이지만 기술만 갖고서는 제품은 만들 수 있어도 작품은 만들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우리는 전공자가 그림으로 다시 시작하기 위해는 결국 자기 자신만의 나다움을 채워가야 한다는 결론을 낼 수 있다. 이미 여러 매체를 통해서 일반 사람들도 잘 그리는 그림들은 수도 없이 봐왔다. 과거 사진기, 프린트기부터 시작해온 기계와의 경쟁에서부터 현재는 어플 하나로 손쉽게 자신이 원하는 일러스트를 찍어내는 지경까지 도래한 이 시점에선 특히 대체할 수 없는 작가란 기계처럼 잘 그리는 작가가 아니라 기계와 전혀 다른 내가 되는 것이고 롱런하는 작가로써 인정받을 수 있는 방법인 셈이다.
*전공자의 그림 학습법
1) 본인이 좋아하는 그림이 어떤 것인지 찾아보고 기록한다. (어떤 작가의 작품인지, 어떤 요소들을 좋아하는지, 왜 좋은지 등)
2) 어떤 이야기를 담을 것인가 고민하기, 단순히 시선을 사로잡는 것뿐만 아니라 내 그림을 좀 더 매력적으로 보이게 할 +가 필요하다.
3) 자신과 유사한 작품을 그리는 작가들을 많이 관찰하고 배울 점을 찾는다.
-비전공자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한 가지 질문에 스스로 대답할 필요가 있다. 자기 자신이 그림을 못 그린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과연 그림을 전공하지 않아서인지 많이 그려보지 않아서인지
어떤 일이든 마찬가지이지만 숙련도를 쌓기 위해서는 올바른 학습도 중요하다. 그러나 자기 자신이 얼마만큼 몰입하여 연마했는지가 더 중요하다.
이미 온라인이든 오프라인이든 그림을 배울 수 있는 공간과 강좌는 차고 넘친다. 본인이 양심에 손을 얹고 정말 최선을 다해서 연마하고 있다면 더 당당하게 자신을 생각하고 표현해야 한다.
*비전공자의 그림 학습법
1) 본인이 추구하는 장르의 프로 작가들이 어떻게 그림을 그리는가 유심히 살펴보고 좋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시도해본다.(SNS, 유튜브 등에 자신의 작업 라이프를 공유하는 분들이 많다)
2) 체계적으로 자신이 작업했던 그림들을 파일화해서 관리하고 성장일기를 써보면 좋다.
3) 주변 지인, SNS 등 다양한 사람들에게 피드백을 받는다. (무조건 사람들의 의견을 반영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싶은 스타일의 그림은 어떻게 공부할까?
사람의 시간은 유한하다 때문에 모든 걸 배우고 잘할 수는 없다. 본인이 진정으로 좋아하고 해야 할 일에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그림도 마찬가지이다. 세상에는 참 많은 스타일과 장르의 그림들이 있다. 도구나 재료로 구분이 되기도 하고 그리는 방식과 기법 또는 다루는 소재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처음에는 폭을 넓혀 다양한 재료들과 화풍을 경험하길 권하지만 본인이 뚜렷하게 추구하는 그림 방식이 있고 시간이 부족하다면 그 폭을 좁혀 특정 장르에 집중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질문지
1. 표현하고 싶은 방식은 무엇인가? 디지털인가 아날로그인가? 혹은 특정 제품인가(신발, 옷, 벽 등)
2. 주로 표현하고 싶은 대상 또는 상황은 무엇인가? (인물, 사물, 동물, 배경, 추상 등)
3. 목표하는 경지는 무엇인가? (이모티콘, 표지작가, 게임 일러스트 등)
4. 목적이 무엇인가? (단순 취미, 수익창출, 등 구체적으로 생각해 볼 것)
위의 질문들을 잘 생각해 보고 정리가 된다면 확실히 시간 낭비 없이 체계적으로 본인이 이루고자 하는 성취를 위해 집중하기 수월해질 것이다.
오늘은 이쯤에서 마무리할 생각이다. 이후에도 나 나름대로의 그리기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 것인데 혹시라도 궁금하거나 조언이 필요한 분들은 덧글이나 메일을 남겨주면 반영하여 공유해보도록 하겠다.
오늘의 요약
1. 잘 그린다의 기준은 어차피 모두들 다르기 때문에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는 게 유리하다.
2. 전공자는 그림 좀 배웠다고 우쭐할 필요가 없다. 좋은 기술이 반드시 좋은 작품을 만드는 것은 아니다.
3. 비전공자는 본인이 그림을 못 그린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혹시 아직 많이 그려보지 않아서가 아닌지 생각해 보자
4. 쫄지 마라 어차피 내 그림을 좋아해 줄 사람은 좋아해 줄 것이고 싫어할 사람은 어떻게든 싫어한다.
5. 시간은 유한하다. 목표를 구체화하고,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학습하라
-문의-
Tell.010 5680 8281
E-mail.dhgudans123@naver.com
kakao.https://open.kakao.com/o/sl6vPiE
instagram. @haemoon_ohm
@haemoon_works
-굿즈-
해문 마플샵 링크
https://marpple.shop/kr/haemoon
위니드 몰 링크
https://www.weneedmall.com/haemoon
당신의 그림실력이 응애에서 멈춘 3가지 이유 (1) | 2021.11.06 |
---|---|
너만 빼고 다 아는 일러스트레이터 되는 법 (0) | 2021.09.29 |
그림을 종이에만 그리는 사람 없제? -그림 그릴 소재 선택 가이드 (0) | 2021.09.10 |
그림그리는데 아이디어가 안떠올라요! -아이디어 떠올리는 법/ 재밌는 아이디어 내는법/ 신박한 그림 아이디어 내는 법 (0) | 2021.08.27 |
그림그리는데 아이디어가 안떠올라요! -아이디어 떠올리는 법/ 재밌는 아이디어 내는법/ 신박한 그림 아이디어 내는 법 (0) | 2021.08.05 |